안구를 둘러싸고 있는 뼈에 골절이
생긴 상태 안와 골절
안구와 주변 부속기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을 안와라고
하며, 그 벽은 뼈로 이루어져 있다. 이 뼈에 골절이 생기
는 경우를 안와골절이라고 하며, 주로 하벽과 내벽에
생긴다. 안와골절의 상당수는 안와 파열골절에 해당하
는데, 주먹이나 야구공 등 둔한 외상을 입었을 때 상대적
으로 약한 안와 내벽이나 하벽에 골절이 생기는 경우이
다. 안와의 상벽과 외벽은 이마뼈와 광대뼈로 이루어져
있어 두꺼우며 외부 충격에 잘 견딘다. 따라서 안와의
상벽과 외벽 골절은 상대적으로 드물고, 교통사고나
둔기 외상 등의 심한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보통 안와보다 큰 물체에 의하여 외상을 입었을 때
바깥쪽의 눈 주위 뼈는 보존된 채 안와 내 압력이 올라
가고 안와벽 중 뚜께가 얇은 안와 하벽과 내벽에 골절이
흔히 발생한다 안와 내 압력이 올라가는 이론과 안와뼈가
구부러지거나 뒤틀려 골절이 발생한다는 이론도 있으며
대부분 두 가지 기전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와 골절 증상
골정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크기가 잘은 골절의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 있다.
골절된 부위로 안와의 지방이 탈출되면서 눈이 뒤로
꺼지는 안구함몰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안와골절의
크기가 클수록 심하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부종으로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깊게 경과를 관찰하여야
한다. 외안근이 안와 골절의 틈새에 끼거나 안와 조직의
부종으로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면 결과적으로 안구 운동
제한과 그로 인한 복시가 나타날 수 있으며 특정 방향을
볼 때 심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외안근이 골절된
뼈 틈에 끼이면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구역, 구토가 생기
며 맥박이 느려지거나 드물게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안와 아래의 신경 손상이 동반되면 같은 쪽의 아래 눈꺼
풀, 콧방울, 윗입술 등에 감각저하가 생긴다.
그 외 눈꺼풀의 부종과 피하출혈, 결막 밑 출혈, 코피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드물게 골절된 골편이나 동반된
안와 내 출혈이 시신경을 압박하여 시력저하가 발생
하는 경우도 있다.
치료 방법
전산화 단층촬영 결과 골절의 크기가 작고 안구함몰,
복시, 안구운동 제한 등이 없을 때에는 수술을 하기
보다는 경구 항생제를 투여하여 이차감염을 예방하면서
자연적인 경과를 관찰한다. 부종이나 출혈이 감소하면
서 복시와 같은 증상이 없어질 수 있으므로 수술을 결정
하는 과정에서는 신중을 기해야 하며 이 과정에 안구운
동제한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안와 골절을 복원하는 수술은 외안근이 끼거나, 안구
함몰이 유의미하게 생겨 반대쪽 눈에 비해 2mm 이상
들어간 경우, 골절의 크기가 커서 앞으로 안구함몰이
유의미하게 생길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고려하게
된다. 특히 미주신경 자극으로 인해 구토, 구역감이
지속되거나 부정맥이 생긴 경우 가급적 빨리 수술적
처치를 한다. 응급으로 시행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외상
으로 야기되었던 연조직의 부종이 빠지는 외상 후 1~4주
내에 수술을 한다.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하지 못하고
수술이 지연되면, 손상된 안와조직에 생긴 흉터 때문에
수술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과가 나쁠 수 있다.
4주가 지나서도 수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환자가
심한 복시를 호소하거나 심한 안구함몰이 관찰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수술의 목적은 골절된
부위로 탈출된 조직들을 안와 내로 돌려놓고 골절된
부위에 삽입물을 넣어 조직이 다시 빠지지 않도록 지지
하는 것이다.
우리 신체 중에서 눈은 생각보다 소중하다.
항상 조심하고 주위를 잘 살펴서 예방하자.
'우리 몸을 지키는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세 이전에 폐경이 되는 경우 조기 폐경 (0) | 2023.04.26 |
---|---|
침이 침샘 밖으로 나가지 못해 생기는 질환 타석증 (0) | 2023.04.26 |
내 몸이 느끼는 어지럼증의 원인 (0) | 2023.04.25 |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 폐렴 (0) | 2023.04.25 |
위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덤핑증후군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