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이 소아기에서 발생하여
반복되는 질환 소아뇌전증
뇌는 사람의 생각이나 행동을 조절하는 기관으로 의식
적으로 행동을 하거나 심장 박동과 같이 무의식적인
기관의 움직임과 관련되며 감각을 받아들이고 반응할
뿐만 아니라 의사 결정을 하고 감정을 전달하는 일을
한다. 사람의 뇌에는 많은 수의 뇌세포들이 존재하며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는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들도
뇌세포들은 비정상적인 전기적 신호를 보내기도 하는데
이때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움직임이나 감각이상 증상을
뇌전증 발박이라고 한다. 뇌전증은 위와 같은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를 의미한다.
뇌전증 발작은 전 연령대에 걸쳐 발병하며 1,000명당
4~9명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고 추정한다.
뇌전증이란 질환 자체는 한 가지 질병이 아니고 원인
및 증상이 다양한 여러 가지 질병을 포함하고 있다.
다양한 원인 및 증상은 발병 연령대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5세 이전 소아의 3~7%에서 관찰되는
열성경련 자체는 뇌전증 발작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하지만 소수의 환자는 열없이 발작을 하여 뇌전증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몇몇 주요한 뇌전증에서는 유전적 소인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명확하게 유전자 혹은
유전양식이 밝혀진 병은 소수에 불과하다. 뇌에 가해진
뇌수막염, 뇌염, 외상 등에 의한 손상에 의해서 뇌전증이
발병하기도 한다. 그 외 소아기에는 타고난 선천성 뇌기
형도 뇌전증의 원인이다. 하지만 다양한 원인들이 어떠
한 기전을 통하여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내지 못한 상태이다.
소아뇌전증 증상
뇌전증 발작은 전신 혹은 일부분의 경련 증사에서부터
감각 증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뇌전증 발작이 뇌의 전체 혹은 부분에서 일어나는가에
따라 전반성 발작과 부분 발작으로 나눈다.
1. 전반성 발작
-전신강직 간대발작
일반적으로 경련이라 할 때 사람들이 생각하는 양상의
경련이다.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며 몸 전체적으로
강직이 온 후 몸을 떠는 증상을 보인다. 팔, 다리가 떨리
는 증상은 간격이 벌어지다가 없어지고 경련 중에는
호흡을 하지 않아 얼굴, 입술이 파랗게 되기도 한다.
또한, 얼굴에도 강직이 심하게 나타나 눈 주변의 모세
혈관이 터지면서 주변의 피부에 점상 출혈을 보일 수도
있다. 발작이 끝나면 심한 두통을 호소하며 구토를 할
수도 있고 잠시 동안 의식의 혼란이 오기도 한다.
- 소발작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5초 내지 10초의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의식 손상을 보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30초 이상의 의식 혼탁은 드물고 잠시
행동을 멈추고 멍한 상태로 있는 것처럼 보인다.
소발작 동안에는 눈, 얼굴 등이 약간 떨릴 수 있으며
질문에 대답을 안 하고 기억도 하지 못하지만, 증상이
멈추면 바로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 근간대성발작
신체의 일부분이 움찔하는 모양으로 나타나는 발작이다.
연속적으로 일어나면 중심을 잃고 쓰러지기도 한다.
- 탈력발작
갑자기 온몸 근육의 긴장이 없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의식은 있을 수 있지만, 근육의 긴장이 없어져 몸을
지탱하기 어렵다.
2. 부분발작
- 단술 부분발작
발작 중에 의식이 유지가 되는 발작이다.
몸의 일부를 떠는 운동증상, 토하거나 얼굴이 달아오르
거나 창백해지고 땀을 흘리기도 하는 자율신경계 증상,
시각, 청각 증상 등 감각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복합 부분발작
의식을 유지하지 못하고 의식의 손상을 보이는 부분
발작이다. 발작이 있는 동안 있었던 일을 기억하지 못하
고 질문을 해도 대답을 하지 못하고 불러도 반응을 보이
지 않는다. 나이가 어릴수록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나타
날 때가 많으며 수면장애, 습관성 장애 등 뇌전증 발작과
유사한 질환들이 있어서 감별을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
이 필수적이다.
치료 방법
약물치료, 식이요법, 수술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대부분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실시
한다. 과거와 달리 다양한 종류의 항뇌전증약제들이
개발이 되어서 효과는 비슷하나 여러 부작용들은 많이
개선되었다. 그러므로 약물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너무
걱정하여 치료를 미루거나 포기할 필요는 없다.
투여 약물의 선택과 약물 사용 기간은 전문가가 결정해
야 하는 영역으로 주변의 비전문가나 검증되지 않은
인터넷 검색 등으로 잘못된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한다.
케톤 생식 식이요법을 비롯한 특수 식이요법 및 뇌전증
병소 절제술, 미주신경 자극술 등의 수술적 치료는
1차 약물 치료에 실패했을 때 고려해 볼 수 있다.
각각의 치료효과는 사람마다 다르며 치료 방법은 반드시
해당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한 후에 결정해야 한다.
'우리 몸을 지키는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속에 부유물질이 보이는 증상 비문증(날파리증) (1) | 2023.04.27 |
---|---|
팔꿈치 부위에 통증이나 압통이 생기는 증후군 상과염 (0) | 2023.04.27 |
간의 단백질 합성 및 해독 기능이 떨어진 상태 간부전 (0) | 2023.04.26 |
몸에 나는 여드름 몸드름 (0) | 2023.04.26 |
40세 이전에 폐경이 되는 경우 조기 폐경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