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을 지키는 방법

수면 도중 일어나 돌아다는 각성 장애 수면보행증

니퉁 2023. 4. 12. 13:44
반응형

수면 도중 일어나 돌아다는 

각성 장애 수면보행증

 

수면보행증은 비렘 수면 각성장애 중 하나로, 수면 중에

보행을 비롯하여 복잡한 신체활동을 하며, 때때로 알아

들을 수 없거나 의미 없는 말을 하기도 한다.

대개 눈을 뜨고 있지만, 시선이 고정되어 있다.

모든 연령대에서 몽유병을 경험할 수 있지만, 어린 시절

에 주로 나타난다. 아동의 10~30%는 적어도 한 번의

몽유병 삽화를 경험하며 2~3%는 자주 몽유병 증세를

보인다. 아동기 몽유병은 대개 사춘기 무렵에 저절로

사라지지만, 약 10%의 환자에서는 십 대에 들어서 몽유

병이 발생하기도 하며 성인기에 처음 시작한 몽유병도

4%에 이른다. 수면은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누어 설명이

된다. 1~4단계는 빠른 안구 운동이 없는 비렘 수면 단계

이고, 빠른 안구 운동이 있는 렘 수면 단계에서 꿈을

꾸게 되고, 성장과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비렘 수면 단계와 렘수면 단계가 이루는 수면주기는

약 90~100분가량 지속되며 자는 동안 주기가 반복된다.

몽유병의 증상은 첫 번째나 두 번째 수면 주기 중 수면의

3~4단계에서 발생한다고 추정된다.

몽유병은 병리적인 뇌 기능의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중추신경계의 활성으로 인해 비렘수면과

렘수면 상태가 교란되어 생긴다고 알려져 왔다.

 

정확히 알려진 원인은 없다.

몽유병을 경험하는 데는 유전적 소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만약 일촌 중에 몽유병을 앓았던

사람이 있다면 몽유병을 경험할 확률이 약 10배 정도

높아진다고 한다. 이러한 가족은 수면장애를 갖는

경향이 있다. 몽유병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열, 전신 질환, 음주, 수면 박탈,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청소년기, 월경기, 임신기 등에 발생

하는 호르몬의 변화도 몽유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시기에 몽유병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항불안제나 수면제, 항간질제,

흥분제, 항히스타민제, 심장 부정맥 치료제 등 일부

약물도 몽유병을 일으킬 수 있다.

 

출처 : 미리캔버스(직접제작)

 

수면보행증 증상

수면 시간 전반 1/3에서 주로 나타나며 수면 단계 중

비렘 수면에서 이 증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환자들은 일어나서 배회하거나 옷을 입는다.

또한 화장실에 가기도 하며, 말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운전을 하는 경우도 있다. 간혹 난폭한 행동을 하거나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눈은 대부분

초점은 흐릿하지만 크게 뜨고 있다.

환자는 고정된 시선을 가지고 다른 사람이 어떻게 

해보려 노력해도 비교적 반응이 없으며 깨어나게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깨어난 이후

그동안의 행동은 기억하지 못한다. 아이들의 몽유병은

자다가 갑자기 소리를 지르거나 우는 증세를 보이는

야경증이나 잠꼬대와 연관성이 높고 유전적인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성인에서 수면보행증은 7% 정도

나타나며 대부분 소아 때부터 수면보행증의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방법 및 예방방법

대부분의 경우 수면보행증 자체에 대한 득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수면을 잘 취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증상이 심할 경우 벤조다이아제핀과

같은 약물 치료를 하기도 한다.

 

수면보행증의 원인은 단순하게 심리학적인 것이 아니라

신체적 원인일 경우도 많다. 과도한 스트레스가 수면을

방해하여 몽유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으므로 스트

레스를 적절히 관리하고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제거한다.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명상이나 이완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잠자기 전에 시각적이나 청각적인 자극을 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