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상포진 3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 신경근병증

감각신경이나 운동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 신경근병증 신경근 혹은 신경뿌리는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경질막 낭내에 있는 말초신경이다. 신경뿌리는 감각신경인 등쪽신경뿌리와 운동신경인 배쪽신경뿌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가지 신경 뿌리는 경질막 낭 밖에서 합쳐져 척수신경을 이루고 등족 및 배쪽가지로 누어진다. 척수신경이 지배하는 영역을 분절이라고 하며, 감각신 경분절의 지배영역은 피부분절, 운동신경분절의 지배 영역은 근육분절이라고 한다. 신경근병증은 척수에서 갈라져 나온 감각신경이나 운동 신경 뿌리에서 발생하는 신경계의 손상을 말하며, 보통 감각신경분절이 지배하는 피부분절을 따라 방사통이 동반되고, 신경의 병이적 변화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해당 근육분절의 근육위축과 건반사 소실이 나타날 수 있다. ..

입술 주위의 대상포진 (헤르페스 바이러스)

입술 주위의 대상포진 (헤르페스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헤르페스 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염증으로 운인 바이러 스는 매우 다양하다. 여기에 속하는 바이러스로는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 2형,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 사람헤르페스 바이러스 6,7,8형 등이 있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 2형은 손상된 피부, 점막이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 때 감염이 일어난다. 수두대상포 진 바이러스는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처음 감염되었을 때에는 수두로 나타난다. 이후 신경절에 잠복하고 있다가 감염된 사람의 면역기능이 감소하게 되면 신경절을 따라 피부로 이행하게 되고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주로 타액으로 전파되며 어릴 때 감염..

내 몸 한쪽 편에 통증과 수포가 발생하였다면

내 몸 한쪽 편에 통증과 수포가 발생하였다면 피부과를 찾는 환자 중 연세가 많으면서 행동이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환자는 대상포진이라는 질병에 걸린 경우가 많다. 대상포진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척추를 중심으로 한쪽에만 팥알 크기의 작은 물집이 생기는 특징을 보인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 병이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했다고 하면 갑자기 어떻게 감염되었는지에 대해 궁금해하고 의아해한다. 이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어릴 때 수두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와 같은 것으로 수두가 치료된 후에도 이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고 우리 몸속의 신경을 타고 척수 속에 오랜 기간 동안 숨어있다가 우리의 몸이 약해지거나 다른 질환으로 생체 내의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을 때 다시 활성화되어 이 병을 일으킨다. 대상포진의 특징은 우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