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패혈증 2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감염에 의한 비브리오 패혈증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감염에 의한 비브리오 패혈증 비브리오 패혈증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패혈증을 뜻한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패혈 증은 간경화와 같은 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 혈색 소침착증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발열, 복통과 함께 균혈증이 생기고 주로 양하지에 큰 물집이 잡혔다가 점차 괴사조직으로 변해가는 경과를 보인다. 우리나라에 서는 주로 간질환 환자에서 비브리오 패혈증이 매년 20~40명 정도 발생하며 치사율이 30% 이상으로 매우 위험한 질병이다.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키는 비브리오 불니쿠스는 바다에 살고 있는 세균으로, 소금의 농도가 1~3%인 배지에서 잘 번식한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바닷물의 온도가 18~20도 이상으로 상승할 때 증식하기 때문에 비브리로 패혈증은..

요로계의 폐쇄가 일어나는 수신증

요로계의 폐쇄가 일어나는 수신증 혈액이 콩팥에 걸러져 소변이 만들어지고, 소변은 신배와 신우를 지나 요관으로 흐른다. 요관을 지나간 소변은 방관에 고여 있다가 어느 정도 양이 차면 요의가 느껴지고 몸 밖으로 배설된다. 소변이 흐르는 통로 중에 어느 부분이 막히면, 그 상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진 압력 때문에 그 부분은 구조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정상적으로도 요로계 중에는 해부학적으로 좁아져 있어 막히기 쉬운 부위가 있는데, 신우와 요관의 경계 부위, 요관과 방관 경계 부위, 방광 경부 그리고 요도 끝부분 등이다. 외부적 혹은 내부적 원인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요로가 막히거나, 신경인성 방광과 같이 기능적으로 요로가 막히게 되면, 그 상부가 소변이 정체되어 높아진 압력 때문에 늘어나게 된다. 예컨대 막힌..

반응형